행복한 엔지니어/주간 뉴스 레터

네트워크 전략으로 애플 성공신화를 이끈 스티브 잡스

행복 기술자 2017. 3. 24. 13:19

행복한 엔지니어의 뉴스레터 (425 )

 

네트워크 전략으로 애플 성공신화를 이끈 스티브 잡스

 

아이팟의 성공은 단순히 예쁘게 디자인을 했다든지, 기능을 더 했다든지 하는 하드웨어의 개선이 아니라,

아이튠스를 통한 음원의 합법적 다운로드라는 새로운 콘텐츠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최근 들어 애플의 성공 신화가 지속되도록 만들고 있는 아이폰도 새로운 콘텐츠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애플 아이폰의 콘텐츠는 무엇인가?

아이폰의 성공 요인에 하드웨어적 개선 효과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가장 큰 요인은 앱 스토어를 통한 사용자와의 수평적 네트워크 형성이다.

즉 아이폰 사용자들을 단순한 고객이 아니라 주인으로 느끼게 해주는 역할이 앱 스토어의 콘텐츠였다.

 

경영학에서 영업이나 마케팅에 대해서 배울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바로 고객은 왕이다.’라는 말이다.

이 경영전략은 고객을 왕처럼 모셔서 고객을 감동시키고, 더 나아가 고객 졸도까지 시켜야만 영업이나 마케팅에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이런 고객 감동 내지 고객 졸도 전략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

아무리 이런 친절과 배려를 해도 고객들은 자신들의 주머니에서 돈을 빼내기 위해 기업이 그런다는 사실을 이젠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애플은 그 해답을 이제 고객은 왕이다라는 전략을 넘어 고객은 파트너다라는 네트워크 전략을 구사하는 것에서 찾았다.

 

고객은 왕이다라는 전략의 허점은 고객과 기업을 이원적으로 구분한다는 점이다.

이런 구별은 어차피 기업이 어떤 친절을 베풀어도 고객의 돈을 빼내기 위해 수단일 뿐이라는 한계를 드러낸다.

하지만 고객은 파트너다라는 전략은 고객을 기업과 동등한 위치에 서도록 만들어서 고객이 돈을 지불하면서도 전혀 반감이 가지 않도록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전략을 가장 잘 구사하는 기업이 바로 애플이다.

애플의 앱 스토어는 이 전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앱 스토어에 콘텐츠를 올리는 주체는 누구인가?

바로 사용자, 즉 아이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다.

그럼 그 콘텐츠는 누가 사용하는가? 바로 사용자, 즉 아이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다.

그러니까 앱 스토어의 공급자도 소비자이고, 수요자도 소비자다.

 

다시 말해 애플은 앱 스토어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공급자들의 파트너이면서 아이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파트너이기도 하다는 의미다.

즉 애플은 고객들이 콘텐츠를 올릴 수 있는 장터를 마련해 주고 있는 동시에, 고객들이 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이폰의 사용자들은 애플을 자신들의 파트너로 생각하기 때문에 애플에 그렇게 열광하는 것이다.

애플의 신제품이 나오면 밤을 새우면서 줄을 서서 애플 제품을 구입하는 마니아층이 많은 이유도 바로 이런 고객은 파트너다라는 네트워크 전략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애플이 고객의 입장만을 생각하는 착한 기업이라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 애플의 영업이익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애플의 높은 영업이익률은 애플이 고객의 주머니에서 돈을 많이 빼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고객들은 자신들의 돈을 기꺼이 지불한다. 왜냐하면 애플을 자신들의 파트너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행복한 미래를 여는 기술자

 

김송호 dream

----------------------------------------------------

이 내용은 제가 새로 쓰고 있는 책 <인공지능 시대에는 공부 못해도 성공의 길이 있다>(가제)의 일부입니다. 자세한 원고 내용은 <내 책 쓰기 카페> http://cafe.daum.net/mybookwriting <김송호> 목록에 올리고 있습니다.

 

이미 발송되었던 뉴스레터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제 개인 블로그 http://happyengineer.tistory.com/<주간 뉴스레터> 목록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