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엔지니어로서 살아온 30여 년의 세월과 더불어 인생 후반기를 맞아 행복을 추구하는 기술자의 변신 스토리입니다. --------- 기술 자문(건설 소재, 재활용), 강연 및 글(칼럼, 기고문) 요청은 010-6358-0057 또는 tiger_ceo@naver.com으로 해 주세요.
행복 기술자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이미지크게보기
다채로운 형상의 대형 눈 조각을 볼 수 있는 태백 겨울축제. [연합뉴스]

조용히 새해가 밝았다.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때문에 해돋이 축제 대부분이 취소됐다. 그러나 1~2월 준비 중인 축제 대부분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애도의 마음은 품되 일상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겠다. 기후 변화 탓에 겨울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눈썰매 타고 얼음조각 구경하고 밤도 구워 먹는 축제가 있어서 다행이다. 겨울의 낭만을 누릴 수 있는 축제 5개를 소개한다.

얼음 조각 보고 알몸 달리기까지
얼음낚시·눈썰매 같은 겨울 놀이를 내세운 축제는 보통 1월 중순께 시작한다. 분주한 연말연시를 보내고 추위가 길게 이어지는 한겨울이 제격이어서다. 일찌감치 막을 올린 축제도 있다. 경기도 ‘포천 백운계곡 동장군축제’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12월 21일 시작한 이 축제는 2월 2일까지 이어진다.

축제가 열리는 백운계곡은 경기도 포천에 속하지만, 인접한 강원도 철원과 화천 못지않게 춥다. 동장군축제에서는 얼음 조각과 얼음 기둥을 감상하고 눈썰매, 송어 잡기 등 다양한 체험도 즐길 수 있다. 서울에서 가까운 데다 축제장 주변에 캠핑장·글램핑장이 많아 아이가 있는 가족여행객에게 인기다.


철원 한탄강 얼음트레킹 축제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탄강 얼음 위를 걸으며 주상절리를 감상한다. [사진 각 지자체]

강원도 철원에서는 이달 11~19일 ‘한탄강 얼음 트레킹 축제’가 열린다.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이 축제는 꽁꽁 언 한탄강을 걸으며 주상절리를 감상하는 게 하이라이트다. 한데 변수가 생겼다. 올겨울 기온이 충분히 떨어지지 않아 축제 때까지 얼음이 두껍게 얼지 않을 수도 있다.

철원군 관계자는 “얼음 트레킹을 못하게 되면 물 위에 떠 있는 부교를 걷는 ‘물윗길’ 체험으로 대체한다”고 말했다. 이색 체험을 못 하는 건 아쉽지만, 강 한복판을 걸으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국의 그랜드 캐니언’을 감상하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다.

승일교와 은하수교에서 진행되는 야외 공연도 놓치기 아깝다. 달리기를 좋아한다면 18일 행사를 주목하자. 남성은 상의를 벗고, 여성은 민소매 차림으로 6.32㎞를 달리는 똥바람알통구보대회가 열린다.

태백산 눈꽃 산행 도전해볼까 
1월 말에는 강원도 평창과 태백에서 눈을 만끽하는 축제가 개최된다. 1월 24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어지는 ‘대관령 눈꽃축제’에서는 눈썰매 외에도 딱지치기·제기차기 등 전통놀이와 컬링,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 다양한 스포츠를 체험할 수 있다. 2월 1일에는 알몸 마라톤 대회도 열린다. 5㎞, 10㎞ 코스 중 선택할 수 있다.


평창 대관령 눈꽃축제에서는 알몸 마라톤대회도 진행한다. [뉴스1]

2월 7~16일 태백산국립공원과 황지연못 일원에서는 ‘태백 겨울축제’가 열린다. 1994년 시작해 30년을 이어온 태백산 눈축제가 올해 이름을 바꿨다. 해마다 강설량이 줄고 기온이 높아져 눈을 내세우기가 머쓱해진 까닭이다.


인증샷 명소로 소문난 칠갑산 얼음분수축제. 최승표 기자

그래도 겨울의 낭만을 즐기기엔 부족함이 없다. 여느 축제와 달리 바이애슬론·하키 같은 겨울스포츠도 체험할 수 있다. 태백산 눈꽃 등반대회도 진행한다. 정상에서 촬영한 인증사진을 SNS에 올리면 선물도 준다. 웹투어·지구투어 등 여행사가 축제 연계 여행상품도 판매 중이다.


동장군축제에서 맛볼 수 있는 군밤. 최승표 기자

충청도에서도 눈과 얼음을 즐기는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충남 청양 칠갑산 자락 알프스마을에서 지난 1일 시작한 ‘얼음분수축제’가 2월 16일까지 이어진다. 눈 놀이를 좋아하는 아이뿐 아니라 거대한 얼음 분수 앞에서 인증샷을 찍으려는 MZ세대에게도 인기가 많은 축제다. 밤 굽기, 깡통 열차 체험은 중장년층도 좋아한다.

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2025년 1월 3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76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