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엔지니어로서 살아온 30여 년의 세월과 더불어 인생 후반기를 맞아 행복을 추구하는 기술자의 변신 스토리입니다. --------- 기술 자문(건설 소재, 재활용), 강연 및 글(칼럼, 기고문) 요청은 010-6358-0057 또는 tiger_ceo@naver.com으로 해 주세요.
행복 기술자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행복한 엔지니어의 뉴스레터 (제 833 호)

 

【 돈이 행복의 전부가 아니다 】

 

한 사업가가 바닷가 마을로 휴가를 떠났다. 그는 낮 시간 동안 호텔에서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업무를 보다가 저녁 무렵 바닷가로 산책을 나갔다. 바다 풍경을 즐기며 걷고 있는데, 바닷가에서 낚싯대를 담가놓고 빈둥거리고 있는 어부를 발견했다. 가까이 가서 보니 낚시 바구니에는 물고기가 몇 마리 들어 있는데, 어부는 더 낚을 생각도 하지 않고 바다만 바라보고 있었다. 사업가는 어부의 그 모습을 보고는 그냥 지나치려다가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돌아서서 어부에게 한 마디를 건넸다.

 

“어부 양반, 물고기도 몇 마리 못 잡은 것 같은데, 이렇게 빈둥대면 언제 그 바구니를 채우겠소?”

“이 정도면 가족들이랑 먹을 양으로 충분합니다.”

“그래도 시간이 많은데, 더 많이 잡아서 팔면 수입도 올릴 수 있고 좋지 않소.”

“그렇게 고기를 많이 잡아서 수입을 올려서 뭐하게요?”

“수입을 많이 올리면 나중에 그 수입으로 배를 사고, 그 배를 타고 먼 바다로 나가면 고기를 더 많이 잡을 수 있잖소?”

“그렇게 돈을 많이 벌어서 뭐하게요?”

“그렇게 해서 돈을 많이 벌면 나처럼 멋진 곳으로 휴가도 떠나서 삶을 즐길 수 있잖소?”

“사업가 양반, 내가 지금 그런 삶을 즐기고 있는데, 뭐 하러 돈을 벌려고 아등바등해야 한단 말이요.”

 

우리는 위의 사업가와 같은 마음으로 세상을 살고 있다. 나중에 한가하게 삶을 즐기기 위해서는 지금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살고 있다. 그런데 지금 열심히 일해서 얼마나 돈을 많이 벌면 나중에 한가하게 삶을 즐길 수 있게 될까? 아마 영원히 그런 순간은 오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만족할 만큼 돈을 번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세계 최고의 부자들이 자신의 돈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만족할 만큼 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마치 바닷물을 마셔서 갈등을 해소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바닷물은 마시면 마실수록 갈증이 더 심해져서 갈증을 해소하는 게 불가능하다. 돈을 버는 것도 마찬가지다. 돈을 벌면 벌수록 더 벌고 싶어지기 때문에 그 욕구를 돈으로 채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40대가 되어 가치 중심의 삶으로 전환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돈에 한정해서 생각해본다면 가장 중요한 점이 돈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관점 전환이다. ‘돈이 삶의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왔겠지만, 역할 중심의 삶에서는 알게 모르게 돈을 수단이 아니라 삶의 목적처럼 여겨왔을 것이다.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돈을 많이 벌어야 하는데, 그 돈을 벌기가 힘들고 돈을 쓸 일은 많다보니, 돈만 있으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처럼 생각해 왔을 것이다. ‘돈이 삶의 목적이 아니라 수단’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돈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 보관하면서 활용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죽을 때 돈을 가져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면 이런 주장에 쉽게 동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마저도 부정하기 위해 가진 돈을 자녀에게 물려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돈에 집착을 하니 행복할 수가 없다. 돈이 삶의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자신의 삶의 가치 실현을 위해 돈을 쓸 수 있는 데도 말이다.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dream

----------------------------------------------

이미 발송되었던 뉴스레터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제 개인 블로그 http://happyengineer.tistory.com/의 <주간 뉴스레터> 목록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