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노후 생계는 부모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8일 발표한 ‘2015 한국의 성인지 통계’에 따르면 13세 이상 3만7000명에게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를 물었더니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2014년 16.6%로 나왔다. 2002년(9.6%)의 1.7배였다. 반면 가족이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70.7%에서 31.7%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가족과 정부나 사회의 공동 책임이라는 응답도 18.2%에서 47.3%로 크게 늘어났다. 정부나 사회가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4.4%)도 있었다.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면 누가 해야하는지에 대해 장남이나 며느리라고 답한 사람은 15.1%에서 6.2%로 줄었고, 모든 자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19.5%에서 75.4%로 대폭 올라갔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생활비 마련 방법을 물었더니 ‘본인 또는 배우자가 부담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66.6%였다. 13년 전인 2002년(55.9%)보다 10% 포인트 이상 늘었다. 구체적으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라고 답한 사람이 절반 이상(54.4%)이었고, 연금과 퇴직금(27.6%)이 뒤를 이었다. 자녀나 친척이 지원한다는 답변은 40.1%에서 23%로 크게 줄었고, 정부나 사회단체 지원을 받는다는 응답은 3.8%에서 10.4%로 늘어났다.
황수연 기자
[출처: 중앙일보 2016년 5월 9일] “부모 노후는 스스로 책임” 9.6 → 17%
13세 이상 3만7000명 설문조사
“가족 책임”은 71%서 32%로 줄어
“장남이 부양”도 15%서 6.2%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8일 발표한 ‘2015 한국의 성인지 통계’에 따르면 13세 이상 3만7000명에게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를 물었더니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2014년 16.6%로 나왔다. 2002년(9.6%)의 1.7배였다. 반면 가족이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70.7%에서 31.7%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가족과 정부나 사회의 공동 책임이라는 응답도 18.2%에서 47.3%로 크게 늘어났다. 정부나 사회가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4.4%)도 있었다.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면 누가 해야하는지에 대해 장남이나 며느리라고 답한 사람은 15.1%에서 6.2%로 줄었고, 모든 자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19.5%에서 75.4%로 대폭 올라갔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생활비 마련 방법을 물었더니 ‘본인 또는 배우자가 부담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66.6%였다. 13년 전인 2002년(55.9%)보다 10% 포인트 이상 늘었다. 구체적으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라고 답한 사람이 절반 이상(54.4%)이었고, 연금과 퇴직금(27.6%)이 뒤를 이었다. 자녀나 친척이 지원한다는 답변은 40.1%에서 23%로 크게 줄었고, 정부나 사회단체 지원을 받는다는 응답은 3.8%에서 10.4%로 늘어났다.
황수연 기자
[출처: 중앙일보 2016년 5월 9일] “부모 노후는 스스로 책임” 9.6 → 17%
'행복한 미래 > 행복하게 나이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기사] 건강한 사람 `대변 미생물` 이식해 장염 균 잡는다 (0) | 2016.05.29 |
---|---|
[신문기사] 사피엔스 앞에 강적이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 (0) | 2016.05.18 |
[신문기사] 이 빠지면 임플란트? 잇몸 아프면 ‘그림의 떡’ (0) | 2016.05.14 |
혜우 스님의 덖음차 (0) | 2016.04.20 |
[신문기사]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는 덴마크 (0) | 2016.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