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할 때 남 돕고자 하는 의욕 78% 감소
수면 시간이 부족하면 인간의 이타적인 욕구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최근 만성적인 수면 부족이 사회적 유대를 해치고 사회를 형성하는 이타적 본능을 무디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 160명이 밤에 잠을 잔 후에 스스로 작성하는 ‘이타심 설문지’를 토대로 타인을 도울 의지를 평가했다.
수면 시간이 부족하면 인간의 이타적인 욕구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최근 만성적인 수면 부족이 사회적 유대를 해치고 사회를 형성하는 이타적 본능을 무디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 160명이 밤에 잠을 잔 후에 스스로 작성하는 ‘이타심 설문지’를 토대로 타인을 도울 의지를 평가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참가자는 ‘나는 타인을 돕기 위해 멈출 것이다’라는 항목에서부터 ‘나는 그들을 무시할 것이다’라는 항목 사이에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 응답했다.
연구진은 참가자 24명을 대상으로 잠을 충분히 잔 후와 24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은 후에 같은 사람의 대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피곤할 때 남을 돕고자 하는 의욕은 78% 감소했다.
연구진은 참가자 뇌 스캔을 통해 수면 부족은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뇌 영역인 사회 인지 네트워크의 활동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매튜 워커 교수는 “수면 부족은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이 낯선 사람인지, 가까운 친척인지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의지를 약화했다”며 “수면 손실은 반사회적이고 도움을 거부하는 행동을 촉발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워커 교수는 수면이 충분해지면 이타성도 다시 회복되는 것을 모든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이타성은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에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현실 세계에서 수면이 이타심에 어떤 타격을 주는지도 연구했다.
낮 시간이 1시간 늘어나는 서머타임 적용 전후에 미국 내 자선 기부금 300만개 이상을 추적했는데, 서머타임 적용 후에는 기부 건수가 10%나 줄었다.
옥스퍼드대 수면 전문가인 러셀 포스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면 손실이 타인을 돕는 경향을 약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 첫 번째 연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는 사회 전 영역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지만, 특히 야간 근무나 ‘최일선근무’에서 그렇다”며 “의사와 간호사, 경찰은 최일선 근무자들은 종종 만성적으로 피곤한데, 연구에 따르면 타인을 도울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타협을 거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보열람 학술지인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참가자 24명을 대상으로 잠을 충분히 잔 후와 24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은 후에 같은 사람의 대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피곤할 때 남을 돕고자 하는 의욕은 78% 감소했다.
연구진은 참가자 뇌 스캔을 통해 수면 부족은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뇌 영역인 사회 인지 네트워크의 활동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매튜 워커 교수는 “수면 부족은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이 낯선 사람인지, 가까운 친척인지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의지를 약화했다”며 “수면 손실은 반사회적이고 도움을 거부하는 행동을 촉발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워커 교수는 수면이 충분해지면 이타성도 다시 회복되는 것을 모든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이타성은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에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현실 세계에서 수면이 이타심에 어떤 타격을 주는지도 연구했다.
낮 시간이 1시간 늘어나는 서머타임 적용 전후에 미국 내 자선 기부금 300만개 이상을 추적했는데, 서머타임 적용 후에는 기부 건수가 10%나 줄었다.
옥스퍼드대 수면 전문가인 러셀 포스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면 손실이 타인을 돕는 경향을 약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 첫 번째 연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는 사회 전 영역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지만, 특히 야간 근무나 ‘최일선근무’에서 그렇다”며 “의사와 간호사, 경찰은 최일선 근무자들은 종종 만성적으로 피곤한데, 연구에 따르면 타인을 도울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타협을 거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보열람 학술지인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게재됐다.
김희원 기자
[세계일보 2022년 8월 24일]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 Dongsuh Indonesia의 신축 공장 (0) | 2023.03.07 |
---|---|
[신문 기사] 너무 깨끗해서 걸리는 병, 더럽지만 안전한 자극이 약이다 (0) | 2023.01.22 |
[신문기사] 다시 열린 광화문광장 몰려든 시민들…"쉴 곳 많아져 좋아요" (0) | 2022.08.13 |
[신문기사] 목 계속 아프면 코로나 감염…감별법 따로 있다 [코로나TMI] (0) | 2022.06.05 |
[신문기사] 기독교와 불교, 목표는 하나…신과 하나되어 유한성 극복하는 것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