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낮 기온이 34도 안팎으로 오르며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5일 경기도 고양시의 한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용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무더위만큼이나 전기요금이 무서운 계절이 여름이다. 월말 다가올 전기요금 고지서를 생각하면 '선풍기 틀고 자면 죽는다'는 도시괴담이 아니더라도 쉽사리 에어컨과 선풍기에 손이 가지 않는다. 한국동서발전은 조금이나마 전기요금 부담을 덜자는 차원에서 일상 속 전기에너지 절약 팁을 담은 '슬기로운 절약생활'을 발표했다.
에어컨 시작은 세게, 송풍기능·선풍기 활용여름철 전기요금 공포의 주인공 에어컨은 시작부터 세게 트는 것이 좋다고 한다. 강풍 모드를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실내온도를 낮추는 게 효율적이란 설명이다. 에어컨 전기요금은 실외기 사용량에 달려있기 때문에 여름철 적정 실내온도 26℃(도)가 되면 송풍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전기요금 절약에 도움이된다.
에어컨과 함께 선풍기를 약하게 틀어주는 것 역시 전기료를 20~30% 줄이는 팁이다. 에어컨 필터가 지저분하면 냉방효율을 떨어트리는 만큼 2주마다 중성세제로 가볍게 씻어 주는 게 좋다.
냉동실은 가득 채우고 냉장실은 60%만냉장고 사용시 냉동실은 가득 채우는게 효율적이다. 냉동된 식품이나 얼음 등이 주변 제품 온도를 낮추기 때문에 공간이 남는다면 아이스팩이나 얼린 페트평으로 채워넣는 게 좋다고 한다. 반면 냉장실은 냉기 순환을 위해 60%만 채우는 게 전력 효율을 올리는 길이다. 여름철 냉동실 적정온도는 영하 15℃, 냉장실은 5~6℃를 유지해야 한다
전기밥솥에 밥 오래두지 마세요. 세탁은 찬물로장시간 전기밥솥 보온을 사용하는 것 역시 전기요금 상승을 유발한다. 보온이 6시간을 넘으면 취사 이상으로 전력이 소모된다. 취사 후 용기에 덜어 냉동보관한 뒤 1그릇분량씩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는 게 효율적이다. 세탁기는 전력의 90%가 물을 데우는 에너지로 소비된다. 40℃ 이하 물로 세착하면 고온 세탁에 비해 전기 에너지가 3분의 1가량 절약된다. 이밖에 TV를 끌 때 TV와 셋톱박스 플러그를 함께 뽑으면 월 4.35㎾h(키로와트시)의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세종=김훈남 기자
[머니투데이 2021년 8월 8일]
'행복한 엔지니어 > 생활속 과학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기사] [퀀텀점프] 양자컴퓨터 상용화, 먼 미래 이야기일까 (0) | 2025.02.23 |
---|---|
[신문 기사] 챗GPT 성능 능가... 전 세계 발칵 뒤집은 중국 AI ‘딥시크’란 무엇인가 (0) | 2025.02.02 |
[신문기사] 애플 에어태그 ‘위치추적’ 실시간 미행·스토킹 우려 (0) | 2021.07.04 |
[신문기사] ‘얼굴·음성’ 새나갔다고?…정·재계, 열화상 체온측정기 점검 나섰다 (0) | 2021.05.30 |
메트로팜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