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엔지니어로서 살아온 30여 년의 세월과 더불어 인생 후반기를 맞아 행복을 추구하는 기술자의 변신 스토리입니다. --------- 기술 자문(건설 소재, 재활용), 강연 및 글(칼럼, 기고문) 요청은 010-6358-0057 또는 tiger_ceo@naver.com으로 해 주세요.
행복 기술자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행복한 엔지니어를 위한 뉴스레터 (제5호)

【Science와 Engineering의 차이에 대한 답글】


지난 번 <Science와 Engineering의 차이>에 대해 두 분이 보내 온 답글입니다.

1. 김종수(건영엔지니어링 상무):

엔지니어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창조하는 일에 매우 익숙해 있으며, 이와 같은 일을 하는 데 있어서 별로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기술에만 안주하는 엔지니어는 미래를 열어갈 수 없는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 신세가 되기 쉽습니다.

본인과의 싸움에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위하여 남 보다 한발 앞서가는 사고를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의 세상은 IT와 함께 생활하는 시대입니다.

본인은 컴퓨터의 보급과 관련하여 80년대 후반부터 기본적인 컴퓨터 교육을 받고 각종 문서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회사에서 배우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테두리 안에서 배우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약 10여 년 전에 강남의 유명한 IT 학원에서 새벽반(05시)에 수강 신청을 하여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워드는 물론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홈페이지 제작툴(드림위버, 나모웹에디터 등)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후 이것을 실무에 적용하여 오늘까지 오는 동안 전문가 수준까지 도달하였으며, 홈페이지 제작을 100% 본인의 실력으로 10여개의 홈페이지를 제작하였습니다.

물론 디자인, 아이콘, 동영상 등 모든 과정을 직접 제작하고 작성하였습니다.

이러한 것은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습니다. 노력하고 미리 준비하는 자만이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경영 마인드입니다.

보내주신 내용과도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하면서 정리해 볼까 합니다.

경영 마인드를 자신 스스로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필히 본인의 것으로 만들어 가야합니다.

엔지니어와 경영이 함께 어우러지면 모든 어려운 숙제는 해결되어 나아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엔지니어 사고로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하여 창조된 결과를 경영 마인드로 접근하면 새로운 기슬개발은 급속도로 시장을 파고들어 회사의 이익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엔지니어는 엔지니어라고 하는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변해야 합니다. 자신 스스로 변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변화하는 자신에게 [Yes, I can]이라고 외치면서 도전하면 어떤 어려운 문제나 순간도 해결하고 통과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전하는 정신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와 같은 것입니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고, 미래를 준비하는 사고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끝으로 "만일 우리가 과거 방식을 답습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절대로 과거를 넘어 설 수 없다! (영국건설혁신센터/1994년)"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2. 이건홍(포항공대 교수):

항상 좋은 글을 보내 주어서 고맙게 읽고 있다. 공과대학의 교수로서 아주 가슴에 와 닿는 이야기다.

현재 대한민국의 공과대학 교수들은 큰 갈등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교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잣대가 science로 되어 있어서, 사실상 Engineering 일은 할 수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SCI Impact Factor가 높은 논문을 얼마나 많이 썼는가로 교수의 업적을 평가하고, 이에 의거하여 연봉을 결정하고 있다.

SCI Impact Factor라는 것은 과거 2년 동안에 얼마나 많은 인용이 있었는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라서, 말하자면 최신 유행가에 대한 독자 인기투표와 비슷하다. 이효리가 오페라 가수보다 노래를 더 잘 부르는 것은 아니지만, 더 많은 인기가 있는 것과 비슷하다.

대부분의 Engineering일이 Impact Factor가 1 부근인데 비해서, science일들은 화학분야는 보통 5, 생명 분야는 10 근처라서, 대부분의 공대교수들도 science에 매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Science>, <Nature> 와 같은 유명한 과학저널들은, "심오한" 내용 보다는 "신기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독자도 많고 Impact Factor가 30에 육박하지만, 약 30% 정도는 재현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더구나. 이미 황우석 사건을 통해서 우리에게도 익숙한 이야기다.

SCI Impact Factor의 치우침 현상으로 인해서, 석사나 박사학위를 가진 Engineer는 거의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안타깝지만 엄연한 현실인데, 교수의 업적을 평가해야만 하는 총장이나 교육부에서도 다른 좋은 대안이 없어서 계속 SCI Impact Factor를 활용하고 있는 듯 하다.

합리적인 대안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